본문 바로가기
[시사] 시사.경제.주식 정보

2025년 3월 28일 미국 증시 시황

by 생활꿀팁911 2025. 3. 29.
반응형


2025년 3월 28일 금요일, 미국 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소비자 심리 악화,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갈등 심화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1. 주요지수 동향
2. 시장하락 요인
3. 업종별 동향
4. 투자자 심리와 시장 전망

Finviz


## 주요 지수 동향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715.80포인트(1.7%) 하락한 41,583.90 마감

- S&P 500 지수
112.37포인트(2%) 하락한 5,580.94 마감

- 나스닥 종합지수
481.04포인트(2.7%) 하락한 17,322.99 마감

이번 주 주요 지수들의 하락폭은 다우존스 1%, S&P 500 1.5%, 나스닥 2.6%를 기록했습니다. 연초 이후 S&P 500 지수는 5.1% 하락했으며, 2023년 9월 이후 처음으로 분기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시장 하락 요인

### 1.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2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타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부각되었습니다. 핵심 PCE 지수는 전년 대비 2.8% 상승해 1월의 2.7%보다 높아졌고, 연방준비제도(Fed)의 2% 목표치를 여전히 크게 상회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Investing.com


### 2. 소비자 신뢰 하락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가 3월에 57로 급락해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월의 64.7에서 크게 하락한 수치로, 소비자들이 인플레이션과 경제 전반, 특히 고용 시장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3. 무역 갈등 심화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4월 2일에는 추가적인 보복 관세 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무역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업종별 동향

기술주와 소비재 관련 주식들이 특히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아마존(AMZN), 테슬라(TSLA), 알파벳(GOOGL) 등 주요 기술주들이 시장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룰루레몬(LULU)은 관세 리스크로 인한 부정적 전망을 발표한 후 주가가 13% 급락했습니다. 자동차 업체들도 트럼프의 관세 발표 이후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는데, 제너럴 모터스(GM)가 7.4%, 포드(F)가 3.9% 하락했습니다.

## 투자자 심리와 시장 전망

바클레이스는 S&P 500 연말 목표치를 6,600에서 5,900으로 하향 조정했고, 골드만삭스도 이미 이번 달 초에 목표치를 낮춘 바 있습니다. UBS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의 데이비드 레프코위츠 미국 주식 책임자는 예상 실적이 이전 전망보다 약할 것으로 보여 연말 S&P 500 목표치를 6,500에서 6,400으로 낮췄습니다.

그러나 레프코위츠는 연말까지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정책의 명확성 제고, 성장 친화적 정책으로의 전환, AI 투자 등이 시장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전자산 선호 현상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금 선물은 새로운 기록을 세웠으며, 온스당 $3,000를 돌파했습니다. 금 가격은 지난 분기에만 17% 이상 상승해 거의 50년 만에 최고의 분기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 기타 주목할 만한 사항

1. 비트코인(BTC-USD)은 인플레이션과 관세에 대한 우려로 4% 이상 하락해 $84,00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2.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CoreWeave(CRWV)가 나스닥에 상장되었지만, 초반에 5% 가까이 하락한 후 오후 거래에서 2% 이상 상승했습니다.

3. "매그니피센트 세븐" 주식들도 큰 압박을 받았습니다. 아마존, 테슬라, 메타 등이 각각 3% 가량 하락했으며, 대부분의 기업들이 1분기를 손실로 마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결론

2025년 3월 28일 미국 증시는 여러 부정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 소비자 신뢰 하락, 무역 갈등 심화 등이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켰습니다. 특히 기술주와 소비재 관련 주식들의 하락이 두드러졌으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향후 시장의 방향성은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추이, 소비자 신뢰 회복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불확실성 요인들을 주시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응형